카테고리 없음

1986년 초기 스포츠자신감 이론모형

탄감자 2022. 4. 21. 12:44

Bandura(1986)는 특정기술의 수행을 통해 성공적으로 당면과제를 해결하고 목표성취를 할 수 있다는 구체적 자신감을 자기효능감으로 설명하였다.

이러한 자신감이 행동으로 발현되기 위한 전제조건으로 과제해결을 위해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기반으로 수행결과가 주는 유인체제인 신념과 기대가 있어야 한다. 만약 유인체제가 없다면 과제해결에 대한 충분한 지식과 숙달된 기술을 가지고 있다고 하여도 동기적 유인이 없다면 행동을 통한 수행으로 연결되지 못할 것이다. 즉 유인체제의 존재 여부에 따라 자신감은 실제 수행을 예측할 수 있다.

Bandura(1977)는 자신감 정의에 있어 과제와 관련된 행동에 따라 어떤 과제를 선택하느냐와 성취를 위해 어떤 방법을 선택할 것인가와 더불어 얼마만큼 지속적으로 노력을 투입할 것인가에 대한 판단을 자신감에 의해 결정되고 특정 결과도출을 위한 반응을 성공적으로 할 수 있으리라는 확신의 강도로 정의하였다. 이는 자신감 이론은 동기에 대한 인지적 해석에 크게 의존하며, 새로운 유형의 행동을 회득하고 유지하는데 인지적인 과정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최영옥. 1988) 밝히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자신감은 체육활동의 구체적 수행을 위한 종목 과제에서 자신감 설명에 효과적으로 알려졌지만, 스포츠 경쟁 상황에서 가신감 형성에 중요 요인으로 주목받는 자기효능감의 과거 성공 경험이 구체적 기술 숙달, 경기의 승리, 코치의 사회적 능력, 동료의 지지, 심판 판정, 홈그라운드 이점 등 다양한 여러 가지 의미로 해석이 가능한 선수들의 자신감 향상에 효과적 요인으로 주장하기에 제한적이라 보고되기 시작했다(Vealey, 1986; 김원배, 1999).

이에 Vealey(1986)는 스포츠 경쟁상황에서 선수들이 인지하는 자신감 상태 연구를 진행하여 경기 수행에 관련된 행동을 예측하고 설명하기 위해 스포츠자신감 이론 모델을 제시하여 자신이 보유한 기술을 스포츠 경쟁상황에서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확신의 정도로 정의하였지만, 기존의 자기효능감 이론과 큰 차이가 없고, 사람마다 가지는 성공개념이 여러 의미로 해석되어 자신감만으로 스포츠 수행을 예측하는 것은 쉽지 않다. 따라서 스포츠 경쟁 상황에서 스포츠자신감 측정을 통한 수행예측을 위해서는 목표를 측정하는 일이 동시에 요구된다고 주장하였다.

이런한 점을 고려하여 스포츠자신감 이론 모델은 경기 중 선수 각자가 가진 목표에 대한 개인적 성취경향을 의미하는 경쟁지향성을 포함시켰다. 경쟁지향성은 자신의 능력을 토대로 수행목표를 성취하려는 경향을 의미하는 수행지향성과 경쟁에서 이겨 상대보다 높은 위치에 서고자하는 경향을 의미하는 결과지향성으로 분류된다(Martin & Gill, 1991).

스포츠 경쟁에 참여한 선수들은 재미의 내적성향과 승리, 성공, 훌륭한 기능발휘를 위해 노력하는 수행 차원과 정정당당한 경쟁과 승부를 위한 규칙준수 차원의 외적성향인 개인적 성향에 따른 목표를 설정하게 된다(Snyder & Spreitzer, 1979). 이에 Vealey(1986)는 스포츠 경쟁에서 선수 스스로 선택한 목표를 성취하려 노력하는 성향을 경쟁지향성으로 정의하며, 자신이 지향하는 목표의 선택 그리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노력의 투자 결과 성공을 입증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목표성취는 본인의 능력과 성공을 반영하는 믿음의 정도를 나타낸다고 하였다.

스포츠자신감 이론적 기틀을 마련한 Vealey(1986)는 스포츠 상황에서 수행의 성공을 위해 과제해결을 위한 행동을 할 수 있다는 평소 가지고 있는 일반적인 확신에 대한 신념의 정도를 특성스포츠자신감(trait sport-confidence)과 특정한 과제에 대해 그 순간 갖는 성공 확신에 대한 신념의 정도를 상태스포츠자신감(state sport-confidence)으로 구분해서 설명하였다.

즉 상태자신감은 개인의 특성스포츠자신감과 경재지향성이 객관적인 경쟁상황과 상호작용에 의해 산출되므로 특성스포츠자신감과 경쟁지향성이 낮은 사람은 같은 객관적인 경쟁상황에서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상태스포츠자신감이 낮으며, 반대로 두 요소가 높은 사람은 똑같은 상황에서 상태스포츠자신감이 높다고 밝혔다.

이처럼 상태스포자신감은 개인수행에 따른 포퍼먼스(performance)에 영향을 주고 행동 반응에 의해 얻어진 결과는 만족과 성취감 같은 정서와 인지적인 판단인 원인 분석에 영향을 주어 다시 당면하게 되는 과제에 대하여 자신이 대처하는 행동을 결정하는 데 영향을 준다고 설명하고 있다. 여기서 수행의 결과는 다시금 개인의 정서와 판단에 영향을 주게 된다. 아래 그림은 스포츠자신감 모형을 도식화한 것이다.

 

                                                           스포츠자신감 모형(Vealey, 1986)

 

Vealey(1986)는 결과지향성인 선수일수록 상태자신감은 감소하고, 불안은 증가하여 수행결과는 상태자신감, 특성자신감, 경쟁지향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주장한다.

 

참고문헌 : 김태형(2022). 스포츠자신감 유형과 측정.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인천대학교 대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