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8

공격성(aggression)

"세상은 강한 개체가 살아남고 약한 것이 소멸되는 약육강식의 세상다. 그러한 세상의 땅 위에 우뚝 서있기 위해 우선 되는 것이 공격이다. 따라서 인간은 본능적으로 살아가기 위해 아니 살아남기 위해 타인을 향한 공격성을 가지고 발휘하고 발전시켜왔다. 이런 행동은 때와 장소 그리고 상황에 따라 평가가 달라진다.(김태형, 2003)" # 이게 꼭 필요해? 인간이 공격적 생명체라는 사실에는 논란의 여지가 없다. 몇몇 설치류를 제외하면, 척추동물 중에서 같은 종(種)의 일원을 습관적으로 파괴하는 동물은 인간뿐이다. 동족의 다른 이에게 잔혹한 행동을 함으로써 확실한 기쁨을 얻는 동물 역시 인간이 유일하다(Storr, 1986). 요즘 뉴스에 자주 등장하는 일부 연예인과 정치인 자녀들이 저지르고 있는 “학교 폭력”은..

카테고리 없음 2023.11.04

야, 너두...스포츠냐?

# 내가 누구게? 여기 이 사람이 누구인지 혹시 알고 있는가?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 국가대표 김관우(44) 선수이다. 그것도 골드메달리스트 선수 그럼 어떤 종목의 선수일까? 40대분들은 추억으로 기억하고 있을 게임 바로 “스트리트 파이터”다.^^ # 귀에 걸면 귀걸이, 코에 걸면 코걸이 이번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에 정식종목으로 채택된 e스포츠는 리그오브레전드, 펜타스톰, 배틀그라운드, 도타2, 몽삼국2, 피파 온라인4, 스트리트 파이터5 총 7개 종목이다. 같은 맥락에서 ‘마인드 스포츠(mind sport)’라 불리는 바둑과 체스, 브리지, 샹치 역시 항저우 아시안게임에서 정식종목으로 채택되며 이 또한 “스포츠인가?” 라는 논란이 되고 있다. 자, 여기서 짚고 넘어가려 하는 것은 우리가 보편적..

카테고리 없음 2023.10.25

스포츠맨십(sportsmanship)과 페어플레이(fair play)

# 이게 뭡니까! 이래서야 되겠습니까? 10월 25일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 테니스 남자 단식 경기에 참가한 세계 랭킹 112위 권순우 선수는 세계 랭킹 636위 카시디트 삼레즈(22, 태국)에게 충격적인 패배를 당한 뒤 자신의 라켓을 코트에 내리쳐 부수고, 권순우에게 악수를 청하는 삼레즈를 무시하며 눈길을 주지 않는 상황이 발생했고,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선수로서 취한 행동은 관중과 시청자의 눈살을 찌푸리게 했다. 장미란 차관은 “국민들의 기대에 부응하는 페어플레이 정신을 보여줘야 한다. 오늘 있었던 문제 행동은 상당히 유감이며 다시는 대한민국 선수단에 이런 일이 발행하지 않도록 조치를 부탁한다”고 당부했다. 한 웨이보 이용자는 “한국 대표팀에 수치스러운 일이다. 스포츠맨십이라곤 없다”고 했다. 권순..

카테고리 없음 2023.10.18

기억의 형태와 구분

당면한 과제 상황을 어떻게 인식하고 사고하여 결과 조치를 위한 판단을 내리는지에 대한 과정을 탐구하고 연구하는 학문은 인지심리학이며, 이러한 인지처리 과정의 주체인 사람은 컴퓨터와 같이 외부정보를 입력하고 저장하고 출력하는 정보처리 과정을 거친다고 가정합니다. 학자들은 이러한 과정 안에서 처리되는 사고, 정서, 기억, 언어, 추리 등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합니다. 다양한 관심 영역 중 기억은 요구되는 상황에 따라서 우리의 일상적인 활동에 큰 영향을 주고 크게는 과거와 현재를 작게는 찰나의 순간과 현재를 이어주는 연결고리인 가교역할을 하며, 이러한 기억으로 인해 사람들은 기쁨, 노여움, 슬픔 그리고 즐거움의 정서를 느낍니다. 대체 기억은 무엇이기에 이리도 사람에게 다양한 희로애락을 주는 것일까요? 심리학..

카테고리 없음 2022.05.16

1986년 초기 스포츠자신감 이론모형

Bandura(1986)는 특정기술의 수행을 통해 성공적으로 당면과제를 해결하고 목표성취를 할 수 있다는 구체적 자신감을 자기효능감으로 설명하였다. 이러한 자신감이 행동으로 발현되기 위한 전제조건으로 과제해결을 위해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기반으로 수행결과가 주는 유인체제인 신념과 기대가 있어야 한다. 만약 유인체제가 없다면 과제해결에 대한 충분한 지식과 숙달된 기술을 가지고 있다고 하여도 동기적 유인이 없다면 행동을 통한 수행으로 연결되지 못할 것이다. 즉 유인체제의 존재 여부에 따라 자신감은 실제 수행을 예측할 수 있다. Bandura(1977)는 자신감 정의에 있어 과제와 관련된 행동에 따라 어떤 과제를 선택하느냐와 성취를 위해 어떤 방법을 선택할 것인가와 더불어 얼마만큼 지속적으로 노력을 투입할 것..

카테고리 없음 2022.04.21

스포츠 자신감 원천과 유형

선수의 경기력 향상과 밀접하게 관련성이 있는 자신감을 발휘하는 데는 스포츠와 관련한 환경적인 상황과 신체 그리고 정신적인 요인이 작용하고, 이와 같은 총체적 조건들을 어떻게 인지하고 받아들이느냐 하는 판단이 전제가 된다. 이러한 점에서 선수들의 개인적인 특성이 중요한 작용을 한다(Norton & Olds, 2000). 그러나 이러한 자신감이 운동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고려되고 있으나, 스포츠분야에서 수행과 자신감의 관련성이 명확하게 규정되지 못하고 있다는 것에(Feltz, Landers, & Reader, 1979; Gould, Weiss, & Weinberg, 1981) 대해 Vealey 등(1998)은 자신감을 형성하는 원천을 확인하기 위해 남ㆍ여 고등학생과 대학생선수들을 참여시켜 연구를 진행..

카테고리 없음 2022.03.31

자결성이론(self-determination theory)

동기는 자극과 도전, 수용과 소속, 유능감과 자기가치 등과 같은 욕구에 기초한다고 언급한 바 있다. 운동선수의 동기는 가장 기본적인 욕구가 충족되었을 때 생겨나고 또 발전한다. 그러나 인간의 동기와 관련하여 논의되어야할 가장 큰 문제점이 남아있다. 그것은 자결성의 욕구이다. 여기서 자결성(self-determination)이란 자신이 얼마나 통제를 하는가의 정도 또는 자기 스스로 독립적인 행동을 하는 것을 말한다. 동기는 내적인 힘과 외적인 힘을 모두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자결성의 연속체로 개념화하는 것이 가장 좋다. 그림에서 보여주듯이, 인간의 행동이 내적으로 동기화되는지 아니면 외적으로 동기화되는지의 정도는 자결성의 연속체(continuum of self-ditermination)에 따라 이동한다고 ..

카테고리 없음 2022.02.03

자기효능감 이론(self-efficacy)

1) Bandura의 자기효능감 이론 밴두러(Bandura, 1986, 1997)는 자기효능감 이론을 제안했는데 스포츠뿐만 아니라 다른 분야에도 널리 알려져 있다. 자기효능감은 자신의 능력으로 특정 고제를 성공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는 신념이나 기대감을 말한다. 자기효능감은 성격특성인 자신감(self-confidence), 자신에 대한 전반적인 믿음인 자기존중감(self-esteem)과는 구분한다. 자기효능감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개인의 기술과 상황을 고려할 때 그 상황에서 얼마나 잘 대처할 것인가에 대한 주관적 판단 상황을 고려하는 개념이므로 '능력(ability)'과는 같은 개념이 아님 구체적인 과제를 성공시킬 수 있다는 믿음(예, 나는 자유투에 자신 있다) 매우 불안정할 수 있어 상황에 따라 변동되..

카테고리 없음 2022.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