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공격성(aggression)

탄감자 2023. 11. 4. 13:39

"세상은 강한 개체가 살아남고 약한 것이 소멸되는 약육강식의 세상다.

그러한 세상의 땅 위에 우뚝 서있기 위해 우선 되는 것이 공격이다.

따라서 인간은 본능적으로 살아가기 위해 아니 살아남기 위해

타인을 향한 공격성을 가지고 발휘하고 발전시켜왔다.

이런 행동은 때와 장소 그리고 상황에 따라 평가가 달라진다.(김태형, 2003)"

 

# 이게 꼭 필요해?

  인간이 공격적 생명체라는 사실에는 논란의 여지가 없다. 몇몇 설치류를 제외하면, 척추동물 중에서 같은 종()의 일원을 습관적으로 파괴하는 동물은 인간뿐이다. 동족의 다른 이에게 잔혹한 행동을 함으로써 확실한 기쁨을 얻는 동물 역시 인간이 유일하다(Storr, 1986).

 

  요즘 뉴스에 자주 등장하는 일부 연예인과 정치인 자녀들이 저지르고 있는 학교 폭력은 인간이 지닌 공격성에서 기인한다.

고등학교 시절, 친구들의 끔찍한 괴롭힘에 시달리던 주인공이 가해자를 응징하는 드라마/제공: NETFLIX.

 

  공격성(Aggression)은 태어나면서 인간이 가지는 특성으로 생존과 목표성취를 위한 도구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어 무조건 나쁘다고만 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세상의 모든 원인과 결과는 동전의 앞, 뒷면같이 양면이 존재하는 것이니 말이다.

 

여기서 짚어보고자 하는 것은 상설한 내용과 같은 공격성이다. , 스포츠에 국한된 공격성에 대해 알아보려 한다.

 

  세상은 강한 개체가 살아남고 약한 것이 소멸되는 약육강식의 세상이다. 이런 세상에 우선 되는 것이 공격이다. 인간은 본능적으로 살아가기 위해, 아니 살아남기 위해 상대방()을 향한 공격성을 발휘하지만, 이런 행동은 때와 장소에 따라 평가 또한 달라진다.

 

  정해진 규칙과 규정을 준수하며 허용하는 범위 안에서 합법적으로 공격적 활동을 취하므로 자신이 추구하는 자아실현목적을 쟁취하는 발휘의 장이 있다. 바로 스포츠 경쟁이다.

사각의 링 안에서 치열하게 싸우는 권투선수.

 

# 공격성이 뭔디?(정의)

  공격성이란 피해나 부상을 피하려는 의도를 가진 살아있는 존재에게, 피해나 부상을 입히기 위한 목적으로 가해지는 모든 행위를 말하며(Baron & Richardson, 1994), 다음 몇 가지를 내포하고 있다.

 

첫째, 공격성은 태도, 정서, 동기가 아닌 행동이다. 타인에게 피해를 주려는 의지, 분노, 생각은 공격성이 아니며, 공격행동에 영향을 주고 역할을 할 수 있지만, 정의하는 특징은 아니다. 또한, 폭력(violence)과는 다른 언어적, 비언어적 행동을 모두 포함한다. 여기서 폭력은 극도의 물리적 공격성을 의미한다(Widmeyer, Dorsch, Bray, & McGuire, 2002).

 

둘째, 목표가 정해진 의도적 행동은 공격성이다. 따라서 우연히 발생해서 주는 피해는 공격성이 아니다. 하지만 상대에게 부상을 입히려는 의도를 가진 행동은 그 피해 여부와는 관계없이 공격성에 해당된다.

 

셋째, 공격적인 행동은 신체, 심리적 피해를 주려는 의도를 갖거나, 장비의 손상 시키려 하는 것과 같이 타인에게 어떤 무엇인가를 박탈하려는 의도가 있다. 즉 공격성은 피해 또는 부상을 초래한다. 반대로 상대에게 피해를 주려는 의도가 없는 행동은 과단성(assertion)이라 한다.

 

넷째, 살아있는 존재에게 발현되는 것이 공격성이다. 그러나 피해자가 공격을 피하려는 동기가 있는 상황에 한정하다. 따라서 길을 가는 개 또는 고양이를 발로 차는 행동은 공격성이다. 그러나 도로에 멀쩡히 서있는 나무에 발길질하고 주먹질하는 것은 공격성이 아니다.

동족을 굴복시키기 위한 늑대의 공격성

 

# 공격성은 어떻게 분류하는 겨?

1. 공격성의 분류

구분 분류
적대적 공격성
(hostile aggression)
분노와 함께 상대에게 피해를 주려는 목적으로 가해진 행동으로 의도와 목적이 상대에게 피해를 주려는 행동이지만 충동적으로 일어난 경우
수단적 공격성
(instrumental aggerssion)
비공식적 목적 달성을 위한 의도적으로 행하는 해로운 행동
ex) 스타플레이어가 더 경기를 못하게 하려는 목적의 악의적 행동은 수단적 공격이다. 행동은 의도적이만 피해를 주는 것은 목적 달성을 위한 수단이기 때문이다.

 

  BushmanAnderson(2001)은 행동의 최종 목표와 분노가 있으며 우연히 일어나지 않는 것 바로, 그것이 공격성이라고 밝혔다.

 

# 여기서 문제 하나.

다음 영화 "넘버3" 대사를 읽고 표1의 공격성 분류에서 어떤 공격성에 해당되는지 생각해보자.

영화 "넘버3" 조필역의 송강호

 

작업 들어가기 전에 마지막으로 한 마디만 하겠다.

예전에 말이야. 최영의라는 분이 계셨어.

...

전 세계를 떠돌면서 맞짱을 뜨신 분이지.

그 양반이 황소 뿔도 여러개 작살 내셧지.

...

 

그 양반 스타일이 이래.

딱 소 앞에 서면 말이야.

너 소냐? 너 황소? 나 최영의야.

 

그리고, 그냥 소뿔 딱 잡어.

잡고 그냥 무조건 가라데로

X나게 내리치는 거야. X나게..

소뿔 빠~ 빠게질 때까지.

이 행동은 어떤 공격성으로 분류될까?

 

# , 공격하는 겨?(이론)

 

  사람들에게 공격의 발생 이유가 다양한 만큼 성격특성, 환경과 사회적 요인 그리고 통제 가능성과 관련해서도 관심이 많지만, 관련 문헌에서는 본능이론, 욕구이론, 사회학습이론으로 공격성 발현을 설명한다.

 

- 본능이론

  우리가 취하는 공격적 행동이 피할 수 없도록 태어났다는 것을 선천적 특성으로 견지하는 이론이 바로 본능이론(instinct theory)이다. 앞에서 언급했듯 생존과 목표성취를 위한 행동으로 진화를 거치며 형성된 선천적인 삶을 위한 전투본능이다.

본능에 따른 공격에너지는 쌓일수록 더 쉽게, 더 크게 폭발하여 공격행동을 유발하기 때문에 공격성에 의한 폭력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해야 하며, 행동 생물학자들이 언급하는 방법은 경쟁적인 스포츠 참여를 통한 공격에너지의 소모이다.

 

- 욕구 이론

  욕구 이론(drive theory)에서 주목할 점은 Dollard (1939)좌절-공격가설(frustration-aggression hypothesis)이다. 즉 좌절은 공격성을 유도하고 공격성은 좌절에서 발현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좌절이 공격성을 바로 유발시키는 것이 아니라 좌절이 공격 욕구를 부추기면 욕구는 공격행동을 촉발시킨다,

 

- 사회학습이론

  사람이 태어나 성장하며 다양한 행동을 지켜보고 학습하며 실행하고 행동하는 것 같이 습득되고, 유발되며, 지속된다고 보고, Bandura(1973)는 공격성은 학습된 사회행동이라고 주장한다. 즉 직접 강화(reinforcement)와 관찰학습(observational learning)을 통해 공격행동을 학습하고 습득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학습과 습득이 효율성과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 중요한 것은 강화가 제공되어야 한다.

  Bandura보보 인형 연구(Bandur, 1965; Bandura, Ross, & Ross, 1963a, 1963b)에서 어린이들은 여러 인형을 가지고 인형에게 공격행동을 하며 노는 것과 공격을 하지 않고 노는 다양한 모습을 지켜보았다. 실제 행동이건 영상시청이건 관계없이 공격적 행동이 보상과 칭찬을 받는 장면을 보면 공격행동을 유발시켰고, 공격적 행동이 처벌을 받는 장면을 본 어린이는 공격행동을 유발하지 않았다.

보보 인형 실험연구(Bobo doll experience) 관찰학습, 모방학습

 

  본능이론, 욕구 이론이 욕구에 대한 행동결과인 것과 다르게 사회학습이론은 공격성이 욕구가 아닌 모델링과 보상에 의한 강화에 따른 학습이 된다는 점에서 차이를 가진다.

 

2. 스포츠에서 발생하는 공격성 요인

구분 요인
환경요인 사회화 환경 경쟁환경, 경기 중요성, 경기 중의 중요 사건, 관중 반응, 팀의 도덕적 분위기
집단 간-집단 내 요인
개인 내 요인 개인차 요인 개인 기대, 상대 선수에 대한 인식과 판단, 성향, 공격에 대한 개인태도, 성취동기, 정서
대인 요인
주요타자(부모, 코치, 동료), 상대
사회학습 요인
상황적 강화, 모델링
()
남자가 여자보다 더 공격적인지에는 논란이 존재
여자: 언어적 공격(모욕, 이름 부르기, 위협하기 등)
                 간접적 공격(험담하기, 소문내기, 나쁜 글쓰기 등)
남자: 공격성은 신체적 행동에서 나타나며 남자가 주로 사용하는 공격성의 형태

 

#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면 공격성이 조절 되는 겨?

 

  흔히 말하기를 스포츠 선수는 힘든 훈련과정을 참고 인내하기 때문에 매사에 잘 참는 인내심과 타인을 존중하는 예절이 무척 바르다.’는 말을 들어 보았을 것이다.

 

  과연 그럴까?

하지만 이를 규명할 수 있는 연구 결과가 많지 않은 실정이기 때문에 엿가락 부러뜨리듯 딱 잘라서 말할 수 없다.” 따라서 몇 가지 긍정적 연구 결과를 간단히 기술하고 마무리 하겠다.

^^ 부정적 연구 결과는 독자분들께서 직접 찾아보는 수고를 권해봅니다. 죄송, 죄송... ㅎㅎㅎ.

 

  신체활동을 통해 개인의 인성을 긍정적으로 발달시킬 수 있을까?를 캐나다에서 아동 페어플레이 프로젝트책임감 모형연구로 진행한 결과

 

  페어플레이 프로젝트 연구에 참여한 아동들은 스포츠 참여를 통해 도덕적 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결과를 확인했다. 책임감 모형연구에 참여한 아동들 역시 스포츠 참여를 통해 학습하고 습득된 타인을 존중하는 행동들이 참여 활동을 마치고 체육관 밖에서도 일반화되어 나타났고 협동, 자기통제, 자기존중감 등 바람직한 특성을 보일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참고문헌

문익수, 김병준, 허정훈, 최영준(2011). 다이내믹 스포츠운동심리학. 대한미디어

Anthony Storr(1986). 공격성, 인간의 재능. 심심.

Bandura, A.(1965). Influence of modelsreinforcement contingencies on the acquisition of imitative respons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 589-595.

Bandura, A.(1973). Aggression: A Social learning analysis.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Bandura, A., Ross, D., & Ross, S. A.(1963a). Imitation of film-mediated aggressive models.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66, 3-11.

Bandura, A., Ross, D., & Ross, S. A.(1963b). Vicarious reinforcement and imitative learning.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67, 601-607.

Baron, R.A., & Richardson, D. R.(1994). Human aggression. New York: Plenum Press.

Bushman, B. J., & Anderson, C. A.(2001). Is it time to pull the plug on hostile versus instrumental aggression dichotomy?

Dollard, J., Doobb, J., Miller, N., Mower, O., & Sears, R.(1939). Frustration and aggression. New Haven, CT:Yale                                    University Press.

Widmeyer, W. N., Dorsch, K. D., Bray, S. R., & McGuire, E. J.(2002). The nature, prevalence, and consequences of agression. In J. M. Silva & D. E. Stevens(Eds.), Psychological foundations of sport(PP. 328-351). Boston: Allyn & Bacon.                       psychological Review, 108, 273-279.